본문 바로가기
SQLD

속성

by JunHDev 2025. 8. 1.

복합 기본키 : PK가 두개이상의 컬럼으로 구성된 경우를 이야기한다. EX) 학생코드 + 과목코드 => 교수님 성함

 

속성이란?


1 : 업무에서 필요로 하는 고유의 성질,특징을 의미 

- 컬럼으로 표시할 수 있는단위

 

2 : 업무상 인스턴스로 관리하고자 하는 더이상 분리되지 않는 최소의 데이터 단위 

 

3 : 엔터티, 인스턴스, 속성, 속성값의 관계

- 한개의 엔터티는 2개 이상의 인스턴스의 집합이여야 한다.

- 한개의 엔터티는 2개 이상의 속성을 갖는다.

- 한개의 속성은 1개의 속성값을 갖는다.

- 속성은 엔터티의 속한 엔터티에 대한 자세하고 구체적인 정보를 나타낸다.

 

속성의 특징


1 : 반드시 해당 업무에서 필요하고 관리하고자 하는 정보

2 : 정해진 주식별자에 함수적 종속성을 가져야함.

3 : 하나의 속성은 한개의 값만을 가진다.

4 : 하나의 속성에 여러 개의 값이 있는 다중값일 경우 별도의 엔터티를 이용하여 분리한다.

5 : 하나의 인스턴스는 속성마다 반드시 하나의 속성값을 가진다. <각 속성이 하나의 값을 갖고 있음을 의미(원자성)>

 

**원자성**

데이터 모델에서 각 엔터티의 인스턴스가 해당 속성에 대해 단일하고 명확한 값을 가지는 것을 의미

 

함수적 종속성

-한 속성의 값이 다른 속성의 값에 종속적인 관계를 갖는특징을 말한다.

-즉 어떤 속성 A의 값에 의해 다른속성 B도 유일하게 결정된다면 B는 A에 함수적으로 종속됐다 하고 수식으로 나타내면 A->B라고 표현한다.

 

부분 함수적 종속 

- 기본키 전체가 아니라 기본키 일부에 대해 종속될때를 말한다

EX) 구매목록이라는 테이블이 있고 PK가 고객번호 상품번호가 있으며 다른 컬럼으로는 상품이 있다.

하지만 여기서 상품번호 만으로 상품의 컬럼이 정해진다면 부분 함수적 종속인 형태이다.

 

속성의 분류


1 : 속성의 특성에 따른 분류

1-1 : 기본 속성

- 현실 세계에서 직접 관측되거나 수집 가능한 값 

-엔터티에 가장 일반적으로 많이 존재하는 속성 

ex) 원금,예치기간 등

 

1-2 : 설계 속성

- 기본 속성 외에 업무를 규칙화하기 위해 새로 만들어지거나 기본 속성을 변형하여 기본 속성을 변형하여 만들어지는 속성

-현실에는 없지만 시스템 설계 편의를 위해 만든 속성

- 테이블간 관계설정이나 유일성 보장등을 위해 사용

ex) 상품코드,지점코드,예금분류 등 

 

1-3 : 파생속성 

- 다른 속성에 의해 만들어지는 속성

- 일반적으로 계산된 값들이 해당

- 값이 자주 바뀌지 않거나, 계산이 복잡한 경우는 컬럼에 저장하는경우가 있으나

정합성과 무결성 이슈로 데이터를 조회할때 계산해서 사용하는 속성이다.

 

2 : 분해 여부에 따른 속성 

2-1 : 단일 속성

- 하나의 의미로 구성된 경우

ex) 회원 ID,이름 등

2-2 : 복합 속성

-여러개의 의미로 구성된 경우

ex) 주소(시,구,동 등으로 분해 가능)

2-3 : 다중값 속성

- 속성에 여러개의 값을 가질 수 있는 경우

- 다중값 속성은 엔터티로 분해

ex) 전화번호

 

속성의 명명

1: 해당 업무에서 사용하는 이름을 부여한다.

2 : 서술식 속성명은 사용하지 않는다.

3 : 약어의 사용은 가급적 제한한다.

4 : 전체 데이터 모델에서 유일한 명칭이여야 한다.

 

도메인

- 도메인은 각 속성이 가질 수 있는 값의 범위를 의미. 

- 엔터티 내에서 속성에 대한 데이터 타입과 크기, 제약사항을 지정하는 것

'SQL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터티  (4) 2025.07.29
데이터 모델  (0) 2025.07.24